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CES 2025에서 본 헬스케어 트렌드: 혈당 측정기, 진단기기, 웨어러블

by o코코언니o 2025. 2. 15.
반응형

ces2025

 

CES 2025는 전통적인 가전 중심의 전시에서 디지털 헬스 및 헬스케어 분야로의 확장을 보여주며 **디지털 헬스, 에이지테크(Agetech), 뷰티테크(Beautytech)**가 주요 트렌드로 부상했습니다. 특히 디지털 헬스케어 관련 기술이 큰 주목을 받았고, 바이오센서, 가정용 진단기기, 홈헬스케어, 웨어러블 기기, 원격의료, 첨단 의료기기, AI 기반 맞춤형 솔루션, 랩 오토메이션 등이 핵심 주제로 다뤄졌습니다. 이 보고서는 CES 2025에서 주목할 만한 헬스케어 기술 및 시장 변화 동향을 깊이 있게 분석합니다.


1. 연속혈당측정기(OTC CGM) – 소비자 시장 확장과 대중화

올해 CES에서 가장 큰 주목을 받은 기술 중 하나는 **연속혈당측정기(Continuous Glucose Monitor, CGM)**였습니다. Abbott(애보트)의 LingoDexcom의 Stelo가 대표적이며, 이 두 제품은 OTC(Over-The-Counter, 처방전 없이 구매 가능) 제품으로 출시되어 기존의 당뇨환자 중심 시장에서 일반 소비자 시장으로 확장되었습니다.

이러한 제품은 혈당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 및 분석해 개인의 건강 관리를 돕는 도구로 자리 잡고 있으며, **구독형 모델(subscription model)**을 적용해 보다 접근하기 쉬운 가격대를 제공합니다.

  • Dexcom Stelo: 30일 사용 가능한 센서 2개 세트가 $99, 12개월 구독 모델을 선택할 경우 월 $89로 제공됩니다.
  • Abbott Lingo: 한 달 공급분이 $89, 세 달 공급분은 $249에 판매됩니다.

Dexcom은 1월 JPM 헬스케어 컨퍼런스에서 Stelo를 통해 약 14만 명의 신규 고객을 확보하고, 2천만 달러의 추가 매출을 기록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구독 모델을 채택한 고객이 대부분이며, 일반인도 자신의 혈당 수치를 모니터링해 대사 건강을 관리할 수 있는 수요가 커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2. 가정용 진단기기 – 스트레스 호르몬 코티솔 측정

가정용 진단기기(At-home Diagnostics) 시장도 활발히 성장하고 있으며, 기존의 혈압, 산소포화도 측정에서 한발 더 나아가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티솔(cortisol)**을 측정하는 신기술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Eli Science의 Hormometer타액 검사를 통해 코티솔 수치를 간단히 측정할 수 있으며, 연동된 앱에서 결과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코티솔 수치는 정신건강, 비만, 운동능력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개인의 건강 상태를 더욱 종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Hormometer는 올해 CES 디지털 헬스 부문에서 최고 혁신상을 수상하며 그 기술력을 인정받았습니다.


3. 홈헬스케어 – 가전과 헬스케어의 융합

가전기업들도 홈헬스케어(Home Healthcare) 시장으로 적극 확장하고 있습니다. CES는 여전히 가전기업들의 참여가 활발하며, 이들은 AI, IoT, 로봇 기술을 접목한 헬스케어 솔루션을 앞다투어 선보였습니다.

  • 파나소닉AI 스타트업 Anthropic과의 협업을 발표하며 스마트 홈헬스 솔루션을 제시했습니다.
  • 삼성전자Dexcom과 파트너십을 맺어 자사의 가전기기와 연동된 혈당 모니터링 서비스를 공개했습니다.
  • LG전자AI 기반 원격의료 서비스를 위한 새로운 스마트 가전 라인업을 선보이며 건강 관리가 가정에서 더 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습니다.

4. 웨어러블 기술의 다양화 – 폼팩터(Form-factor)의 진화

웨어러블 기술은 기존의 스마트워치 중심에서 스마트링, 스마트 의류, 스마트 안경, 헬멧 등으로 다양화되고 있습니다. CES 2025에서는 새로운 형태의 웨어러블 기기들이 다수 등장해 주목받았습니다.

  • 스마트 의류: 은이 함유된 전도성 섬유로 제작되어 열 발산과 근력 보조 기능을 제공합니다.
  • OTC 안경: 보청기 기능을 탑재해 청력 보조를 지원하며 일상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스마트 헬멧: 뇌파 및 심박수를 모니터링할 수 있어 산업 현장에서 작업자의 건강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웨어러블 기기의 이러한 폼팩터 다양화는 헬스케어 기술이 더욱 개인화되고 일상 속에 자연스럽게 통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줍니다.


5. 랩오토메이션 – 진단 효율성 향상

랩오토메이션(Lab Automation) 기술은 AI를 적용해 실험실 자동화의 정교함과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있습니다. 비록 최종 소비자가 직접 사용하는 기술은 아니지만, 의료 서비스의 접근성 개선과 진단 정확도 향상이라는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AI 기반 분석 시스템은 실험실에서 더 빠르고 정확한 결과를 제공하며, 특히 유전자 분석 및 정밀 의료 분야에서 큰 진전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의료진의 업무 효율성을 높이고, 환자에게 더 나은 진단과 치료를 제공하는 데 기여합니다.


결론 및 전망

CES 2025는 헬스케어 기술이 기존 의료 서비스의 틀을 넘어 일상 속으로 스며들고 있는 현상을 잘 보여주었습니다. 소비자 중심의 헬스케어 기술은 앞으로도 더욱 발전할 것으로 예상되며, 홈헬스케어, 웨어러블 기술, AI 기반 자동화 시스템이 그 중심에 설 것입니다.

특히 전통 가전기업들과 디지털 헬스 스타트업 간의 협력이 활발해지면서, 헬스케어 분야는 앞으로 더 넓은 소비자층과 다양한 생활 영역으로 확장될 것입니다. 구독형 헬스케어 서비스는 비용 효율성을 강화하며 새로운 시장 기회를 창출할 것이며, 이를 통해 건강 관리의 대중화가 더욱 앞당겨질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