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이야기

2025년 수산자원보호직불제, 어업인을 위한 필수 정보 총정리!

by o코코언니o 2025. 2. 26.
반응형

수산자원보호직불제

 

수산자원 보호와 어업인의 소득 안정을 위해 시행되는 수산자원보호직불제!
2025년에는 어떤 변화가 있을까요?
신청 자격, 지급 금액, 신청 방법 등 핵심 정보를 한눈에 정리해 드립니다.


✅ 수산자원보호직불제란?

수산자원보호직불제는 어업인이 수산자원 보호를 위한 의무를 성실히 이행할 경우, 정부가 직접지불금을 지원하여 어업인의 소득을 안정시키고 지속 가능한 어업 환경을 조성하는 제도입니다.


📌 2025년 수산자원보호직불제 신청 자격 및 조건

🔹 신청 자격

  • 어업인 단체: 근해어선은 최소 10척 이상, 연안어선은 최소 20척 이상의 어선으로 구성된 단체여야 합니다. 단, 총허용어획량(TAC)이 설정된 어선으로 구성된 단체는 근해어선 5척 이상, 연안어선 10척 이상으로도 신청 가능합니다.

🔹 필수 의무

  • 총허용어획량(TAC) 준수: 단체 구성원 전원이 TAC 할당량을 준수해야 합니다.

🔹 선택 의무 (단체 구성원의 80% 이상 참여 필요)

  • 일시적 또는 자율적 조업 중단
  • 어선 감척 참여
  • 생분해성 어구 사용
  • 해양포유류 혼획 저감장치 부착
  • 해양 쓰레기 수거 등

🔹 최소 조업일수

  • 해당 연도에 60일 이상 조업해야 합니다. (2024년 10월 1일 ~ 2025년 9월 30일 기준)

💰 2025년 수산자원보호직불금 지급 금액

🔹 소규모 어선 직불금

  • 2톤 이하 어선: 어선 1척당 150만 원 정액 지급

🔹 톤수 비례 직불금

  • 2톤 초과 어선: 어선 1척당 톤수에 따라 차등 지급
    • 10톤 이하: 톤당 75만 원
    • 10~20톤: 톤당 70만 원
    • 20톤 초과: 톤당 65만 원

🔹 지급 상한

  • 개인: 최대 90톤 (최대 6,000만 원)
  • 법인: 최대 140톤 (최대 9,250만 원)

📝 신청 방법 및 기간

🔹 신청 기간

    • 2024년 11월 18일 ~ 12월 20일 (2025년 지원사업)
    • 2026년 수산자원보호직불제의 정확한 신청 기간은 아직 공식적으로 발표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이전 연도의 신청 기간을 참고하면, 2025년도의 경우 **2024년 11월 18일(월)부터 12월 20일(금)**까지 신청을 받았으므로 2025년 11월 중순부터 12월 중순까지 진행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정확한 일정은 해양수산부의 공식 발표를 통해 확인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 또한, 수산자원보호직불제 신청을 위해서는 수산공익직불제 교육 이수가 필수입니다. 교육 관련 정보는 수산교육포털(www.susanedu.kr)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신청 기간을 놓치지 않도록 미리 준비하시고, 관련 교육과 서류를 사전에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 신청 방법

  • 단체 신청: 개인 신청은 불가하며, 지급 신청 단체가 관련 서류를 작성하여 해당 지자체의 해양수산 관련 부서에 방문 제출해야 합니다.

🔹 제출 서류

  • 지급대상단체 선정신청서 (단체)
  • 지급대상자 선정신청서 (개인)
  • 수산자원보호 의무 이행 세부계획서
  • 단체 구성원 간 자율협약서 또는 회의록
  • 어업허가증 사본
  • 어업 생산실적 증빙자료 (수협 위판자료 등)
  • 직불금 입금 통장 사본 등

🔍 유의사항

  • 교육 이수 필수: 직불금 지급 대상자는 수산공익직불제 교육을 반드시 이수해야 합니다. 교육은 온라인으로 수강 가능하며, 자세한 사항은 수산교육포털(www.susanedu.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의무 불이행 시 불이익: 필수 및 선택 의무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직불금 지급이 제한되거나 환수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2025년 수산자원보호직불제, 어업인의 소득 안정을 위한 중요한 제도입니다.
신청 기간을 놓치지 말고, 필요한 서류와 요건을 미리 준비하여 혜택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반응형